쇠그렌 증후군 증상 원인 및 진단
쇠그렌 증후군 증상 원인 및 진단 방법은?
자가면역 질환인 쇠그렌 증후근 증상 환자가 중년여성을 중심으로 늘고 있다고 합니다. 입이 심하게 마르고 눈이 뻑뻑한 증상을 보이는 쇠그렌 증후군 증상은 2014년 1만 5천명, 2015년 1만 7천명, 2016년 1만8천명으로 꾸준히 증가했는데요. 지난해 환자 중 여성이 83.4%(1만 5천명)로 남성(3천명·16.6%)보다 압도적으로 많았다고 합니다. 연령별로는 50대 27.4%, 60대 21.6%, 40대 17.1%로 40∼60대가 66.1%를 차지했습니다.
쇠그렌 증후군이란?
쇠그렌 증후군은 자가면역성 전신질환으로, 면역체계가 타액선, 눈물샘을 공격해 만성 염증이 생겨 분비 장애를 일으키기 때문에 안구와 구강 등 점막이 건조해지는 증상이 주로 나타납니다. 1933년 이 질환을 처음 보고한 스웨덴 의사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습니다.
쇠그렌 증후군 증상 원인은?
쇠그렌 증후군의 정확한 원인은 알려지지 않았으나 유전적인 요인과 환경적인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하는 자가면역질환이라고 합니다. 집니다.
쇠그렌 증후군 증상은?
쇠그렌 증후군 증상은 침샘 분비가 저하되면 음식을 씹고 삼키는 것이 어려워지고, 잇몸 염증이나 충치가 쉽게 생기며, 말하는 것이 힘들어질 수도 있고, 침샘이 부어 통증과 열이 동반되기도 합니다. 눈물이 잘 나오지 않아 눈이 뻑뻑해지고 모래가 낀 듯 이물감이 느껴지며 쉽게 충혈되고 피로해 지는데, 적절히 치료하지 않으면 각막과 결막의 염증으로 악화할 수도 있습니다.
또 쉽게 지치고 피로를 느끼며 관절이나 폐, 호흡기 등 다른 장기에도 침범해 다양한 이상을 나타내기도 합니다. 3개월 이상 구강과 안구 건조증이 지속하면 류머티즘 내과에서 정확한 진단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
쇠그렌 증후군 진단은?
쇠그렌 증후군은 건성안이나 구강건조증 그리고 류마티스관절염이나 다른 결합조직질환 중 2개 이상의 소견이 있을 때 진단할 수 있습니다.
건성안 진단에는 눈물 량을 측정하기 위하여 안검아래 부위에 5분간 여과지를 놓고 눈물로 적셔지는 정도를 확인하는 셔머 검사(Schirmer’s test), 눈물 층의 안정성을 보는 눈물막 파괴시간(Tear-film breaking time) 측정, 생체염색(Rose Bengal) 등을 통해 안구건조증을 진단합니다.
구강건조증 진단은 동위원소를 주사한 다음에 침샘에 흡착되는 동위원소량을 측정하여 침샘의 기능을 평가할 수 있습니다. 또한 레몬주스를 마신 후에 침샘을 자극하여 구강 내로 동위원소가 분비되는 정도를 평가하여 침샘기능을 조사할 수 있습니다.
쇠그렌 증후군은 완치되지 않기 때문에 증상을 완화하고 합병증을 방지하는 치료가 최선입니다. 안구 건조에는 인공 눈물이나 안약을 사용하고 자주 재발하거나 일반적인 치료에 잘 반응하지 않는 경우 국소적인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제(NSAID)나 코르티코스테로이드의 사용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구강 건조와 충치 예방을 위해서는 인공 침을 사용하거나, 물을 자주 마시는 것이 좋고, 당분이 없는 껌이나 사탕을 먹으면 침 분비가 자극 되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음식조각들이 입안에 남아 있지 않도록 구강을 청결하게 유지하고, 술과 담배는 피하며, 자주 치과 검진을 받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승인된 구강 건조증 치료제인 살라겐(Salagen)은 침샘과 같은 특정 샘(腺)의 분비를 촉진시키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침샘의 분비 기능이 남아있을 경우 효과적입니다.
피부 건조 시에는 보습제를 사용하여 예민해진 피부를 보호하고, 실내에 가습기 등을 사용하여 적절한 습도를 유지하는 것이 좋습니다. 관절염이나 관절에 통증이 있을 때 아스피린이나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제를 사용하고, 심한 합병증이 발생한 경우 코르티코스테로이드를 포함한 면역억제제를 사용하기도 합니다. 관절 손상을 예방하고 근육의 탄력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산책이나 수영같이 가벼운 운동을 하는 것이 권장됩니다. 단, 신체에 무리를 줄 정도의 운동은 피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