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득대비 가계대출 170%… OECD 최고수준
소득대비 가계대출 170%… 증가세 OECD 최고수준
가계부채 문제는 언제 터질지 모르는 시한폭탄이죠. 이를 반영하듯 가파르게 늘어나는 가계부채가 한국의 향후 삶의 질을 위협하는 요소로 꼽혔는데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의 '2017 삶의 질' 보고서에서 최신집계 기준으로 OECD 회원국 및 비회원국 41개국의 '미래 생활의 질' 위험 요소 30개를 비교한 결과 가계부채가 OECD 국가 중 하위권을 뜻하는 3등급을 받았다고 합니다.
가계부채는 한 가구가 가진 주택담보대출과 신용카드 대금, 자동차 구매자금 대출, 학자금 대출 등을 합친 것인데요.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의 가구당 순 가처분소득 대비 부채 비율은 2015년 기준 170%로, OECD 회원국 및 비회원국 33개국 가운데 10번째로 높았다고 합니다.
이는 OECD 30개국 평균인 123%를 훌쩍 웃돌며, 주요 선진국인 미국(112%), 일본(135%)보다 높은 수치이며 회원국 가운데서는 헝가리와 라트비아의 소득대비 가계부채 비율이 각각 51%, 52%로 낮았고, 러시아(29%)와 이탈리아(89%)의 가계부채 비율도 100%를 하회했다고 합니다.
한국의 가계부채는 해를 거듭할수록 상승세가 가팔라지는 모습을 보였는데요. 한국 가처분소득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2008년 143%에서 2015년 170%로 27%포인트(p) 상승했습니다. 이는 OECD 회원국 29개국과 비회원국 1개국 등 30개국 가운데 세 번째로 상승속도가 빨랐으며 같은 기간 한국보다 큰 폭으로 상승한 국가는 그리스(32%p), 스위스(31%p)뿐이었다고 합니다.
이는 OECD 주요 회원국의 가계부채 흐름과 반대되는 것으로서 가계부채 비율이 높은 덴마크의 경우에도 2008년 340%에서 2015년 293%, 2016년에는 292%로 부채 비중이 줄어드는 경향을 보였으며 아일랜드도 2008년 230%에서 2015년 178%로 가계부채 비율이 감소했다고 합니다.
OECD는 가계부채를 회원국의 미래 생활의 질에 위험이 되는 요소로 선정하고 "부채가 지탱할 수 없는 수준에 도달하면 경제 시스템에 위험이 된다"고 지적하고 있는데요. 소득대비 가계대출 170%라는 위험지표를 개선할 수 있는 강하면서도 합리적인 대책이 모색되어야 할 시점인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