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혼 안하고 두집 살림.. 동거녀 유족연금 권리 없다.

기혼자와 수십년간 사실혼 관계였어도 법적으로 이혼한 상태가 아니었다면 유족 자격으로 연금을 받을 수는 없다는 법원 판단이 나왔는데요. 배우자가 있는 사람과 사실혼 관계를 맺고 수십 년 동안 생활한 여성이 동거남이 숨지자 유족연금을 달라며 행정소송을 냈지만 2심에서도 패했다고 합니다.

서울고법 행정2부(김용석 부장판사)는 A씨가 국방부 장관을 상대로 낸 동거녀 유족연금 지급불가 결정 취소 청구소송 항소심에서 1심과 마찬가지로 원고 패소로 판결했습니다.

 


A씨는 1960년대 중반께 배우자가 있던 B씨와 동거하면서 두 명의 자녀를 낳고 생활했지만 앞서 1954년 결혼한 B씨는 혼인 관계를 정리하려 했으나 부인의 반대로 이혼하지 못했다고 합니다.



전역한 직업 군인이었던 B씨가 2014년 2월 숨지자 A씨는 국방부에 유족연금을 신청했습니다. 군인연금법에 따르면 퇴역 연금을 받을 권리가 있는 퇴역 군인이 숨지면 유족은 유족연금을 받을 권리가 있고 사실혼 관계인 사람도 유족에 포함되기 때문이였죠.

하지만 연금 수급 권리는 B씨의 법률상 배우자에게 있다는 이유로 거절당했는데요. 이에 A씨는 자신과 B씨가 사실혼 관계였다며 '사실상 혼인관계 존부 확인 소송'을 가정법원에 제기해 1·2심에서 승소한 점을 근거로 들어 국방부를 상대로 행정소송을 냈다고 합니다.



그러나 1심은 "A씨와 B씨의 자녀들이 B씨와 법률상 배우자의 자녀로 호적에 등록됐던 점 등에 비춰볼 때 법률혼이 사실상 이혼 상태라고 보기 어렵다"며 A씨 청구를 기각했으며 2심 또한 "법률혼이 사실상 이혼 상태에 있었다고 보기 어렵고, 법률상 배우자에게는 혼인 관계를 유지할 의사가 있었다고 인정된다"고 판단했습니다.

이어 "사실혼 관계자가 법률상 배우자보다 우선해 보호되는 예외적인 경우란 이혼할 뜻이 있는데도 형식상 절차가 이뤄지지 않아 법률혼이 남아 있는 때"라며 "사실상 부양관계 등을 기준으로 판단할 것은 아니다"고 설명했다고 합니다.



또 법률혼이 유지되는 이상 배우자 사이의 부양 의무는 존속한다고 봐야 하며, 사망 당시 B씨와 배우자가 서로 부양하지는 않았으나 이는 중혼적 사실혼 관계를 유지하며 의무를 이행하지 않은 B씨의 귀책사유 때문인 점 등에 비춰 "B씨가 부양 의무를 다하지 않았다고 법률상 배우자가 유족연금의 수급권자가 아니라고 할 수는 없다"고 봤다고 합니다. 사실혼 관계에 있더라도 동거녀 유족연금을 받을 권리가 언제나 있는 것은 아니다라는 법원의 판단인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