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의 성능저하, 애플 집단소송 확산 조짐
고의 성능저하 논란에 휩싸인 애플을 상대로 집단 소송이 잇따르고 있다고 합니다. 고의 성능저하로 인한 집단소송 가운데 한 곳에서라도 배상 판결이 난다면 애플에는 상당한 타격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외신에 따르면 며칠 새 고의로 구형 아이폰의 성능을 떨어뜨린 애플을 상대로 미국 전역에 집단소송이 제기됐는데요. 캘리포니아 주의 아이폰 이용자 2명이 로스앤젤레스 연방지법에 집단소송을 냈고 캘리포니아 북부의 연방지법에도 별도의 소송이 접수됐다고 합니다.
또 일리노이·오하이오·인디애나·노스캐롤라이나 주 출신의 5명은 시카고 연방지법에 집단소송을 제기했고 뉴욕 주에 거주하는 2명도 뉴욕 주 상법 249조와 350조를 위반했다며 집단소송에 가세했다고 합니다.
이 같은 애플 집단소송 움직임은 다른 국가로도 번질 조짐인데요. 이스라엘 고객 2명도 애플에 손해배상을 요구하는 집단소송을 텔아비브 법원에 제기했다고 이스라엘 현지 언론이 보도했기 때문입니다.
집단소송 대리인측은 “애플이 구형 아이폰의 성능을 저하시킨 것은 신형 아이폰을 사게 만들려는 의도적인 사기행위”라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집단소송은 원고가 승소하면 다른 피해자들도 별도 소송없이 배상받을 수 있는 제도입니다. 집단소송 가운데 한 곳에서라도 배상 판결이 난다면, 애플로서는 상당한 타격이 될 것으로 관련 업계는 관측하고 있습니다.
앞서 애플은 일부 이용자들이 “배터리 잔량이 떨어지면 아이폰 속도가 느려지도록 운영체계를 변경했다”고 의혹을 제기하자 “아이폰 6, 6S, SE의 갑작스러운 전원 차단을 막기위한 것”이라고 해명했습니다. 배터리 성능저하에 따른 부작용을 막으려는 조치라는 주장이지만, 소비자들의 반응은 싸늘하다고 미 언론들은 전했습니다.
하지만 애플은 이런 집단소송에 대해 별다른 입장을 내놓지 않고 있는 상황이라고 하는데요. 고의 성능저하에 대한 애플 집단소송 결과가 어떻게 될지 귀추가 주목되고 있다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