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무원 기대소득 최대 7억 8000만원 더 많다.

한국사회에서 이른바 공시족은 해를 거듭할 수록 많아지고 있죠. 일반적으로 공시족들은 직업의 안정성을 추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7,9급 공무원이 되면 민간기업에 취직하는 것보다 퇴직시까지 공무원 기대소득이 더 많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나왔습니다. 안정성뿐만 아니라 수익성까지 두 마리 토끼를 잡은 현명한 선택이라는 것이죠. 

전국경제인연합회 산하 한국경제연구원이 29일 발표한 '공무원 시험이 퇴직 전 누계 소득에 미치는 영향' 보고서에 따르면 재학 중 공무원 시험에 합격한 사람은 퇴직할 때까지 민간 기업체 취업자보다 최대 7억8058만원 더 많은 누계 소득을 기대할 수 있다고 합니다.

다만 비교 대상 민간 기업체 규모에 따라 누계 소득 우열 양상에는 다소 차이가 있었는데요. 근로자 수가 1~49명의 소기업 취업자보다는 최대 7억8천58만 원이나 많고, 300~999명의 중견기업 취업자보다도 최대 4억8천756만 원이 많지만, 1천명이 넘는 대기업 취업자보다는 최대 6천875만 원 누계 소득이 적었습니다.

이는 극소수 대기업에 취업하지 않는 한, 공무원 시험에 합격하기만 하면 평생 소득이 일반 민간기업 중견 및 중소업체 취업자보다 훨씬 늘어난다는 얘기죠.

공무원의 누계 소득이 민간 기업체 종사자의 누계 소득보다 많은 이유로는 상대적으로 높은 임금 인상률, 늦은 퇴임 시점 등인 것으로 분석됐는데요. 공무원의 임금 인상률은 연평균 약 7%대 수준으로 대기업의 6.2%보다 높고, 공무원 퇴임 연령 역시 평균 56~59세로 대기업의 평균인 52세보다 높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공무원이 상대적으로 낮은 초기 연소득과 늦은 입사연령에도 불구하고 높은 임금인상률과 늦은 퇴임연령으로 인해 종래 퇴직 전 누계 소득이 민간 기업체 종사자보다 높아질 수 있다는 분석인 것이죠.

하지만 공무원 시험 준비 경험자가 민간기업에 들어갈 경우에는 공무원 시험을 준비하지 않고 바로 취업한 경우보다는 누적 소득이 최대 2억227만 원 오히려 적은 것으로 추산됐는데요. 이는 공무원 시험 준비로 민간 기업체가 선호하는 인적 자본 축적 기회를 상실했기 때문이라는 게 한경연의 분석이라고 합니다.

이번 연구 결과 공무원이 직장 안정성뿐 아니라 금전적 측면에서도 민간 기업체보다 선호될 수밖에 없는 직종이라는 사실을 확인되었으며 민간 기업체보다 과도하게 설정된 정부의 보수 체계를 시급히 조정해 합리적 인적 자본 배분을 모색해야 한다고 합니다.

또한 공무원 시험 준비 경험자 가운데 정부에 취직하는 비율은 10% 정도에 불과한 실정이며 공무원 시험 준비 경험은 소득 증대 기회일 수도 있지만, 반대로 실패하면 퇴직 전까지 누계 소득을 크게 줄이는 부메랑이 된다는 점을 간과해서는 안된다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