침실조명 우울증 증상 위험 높인다.

침실조명 우울증 증상을 높인다고 합니다. 침실 조명이 밝으면 수면의 질이 떨어져 우울증 위험이 증가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는데요. 60세 이상의 남녀 863명을 대상으로 2010년부터 2014년까지 침실에 센서를 설치해 잠자리에 들 때부터 나올 때까지 침실의 밝기를 측정한 결과 이 같은 결론을 얻었다고 합니다.

침실조명 우울증 연구에 따르면 침실의 밝기가 평균 0.4 럭스(조명이 밝은 정도를 나타내는 단위로 10럭스는 30cm 떨어진 곳에 촛불을 켠 정도의 밝기)로 '어두운 편'이었던 710명 중 52명, '밝은 편'(평균 12.4럭스) 이었던 153명 중 21명이 새로 우울증 증상을 보였다고 하는데요. 연령과 성별, 세대별 소득 등의 차이를 조정한 후 분석한 결과, 침실 조명이 밝은 편이었던 사람은 어두운 편이었던 사람에 비해 우울증 증상을 보일 확률이 1.9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합니다.

그렇다면 왜 침실조명 우울증 증상을 유발하는 것일까요? 그건 바로 잠자는 곳이 밝으면 잠의 질이 떨어져 몸의 리듬이 깨지고, 이 때문에 컨디션도 나빠져 우울증이 유발되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는데요. 피곤하고 스트레스가 많은 현실에서 무엇보다 숙면이 참 중요하죠.

실제로 고대안암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연구팀이 수면 전 4시간 동안 밝은 빛에 노출됐을 때 코티졸의 생체리듬과 시간조절유전자의 발현이 정상보다 4시간가량 지연된다는 것을 밝히기도 했는데요. 시간조절유전자의 발현이 늦어지면, 전반적인 생체리듬이 뒤로 밀리면서 실제 환경과의 불일치가 생긴다고 합니다. 마치 시차를 겪는 것과 같은 문제를 발생시키는 것이죠. 이에 따라 오전시간의 무기력, 피로감 증가, 불면증과 수면의 질 하락 등 삶의 질이 낮아지게 된다고 합니다.

따라서 평소 침실의 밝기를 최대한 어둡게 하는 것이 좋구요. 잠들기 전 밝은 빛을 내는 조명기구는 모두 소등하는 것이 좋고, 어두운 환경에서 강한 자극이 될 수 있는 스마트폰의 사용도 줄여야 한다고 해요.

하루 평균 권장 수면시간은 건강한 성인은 7~8시간, 성장 호르몬이 분비되는 어린이와 청소년은 9~10시간 정도라고 합니다. 하지만 직장과 학업 등으로 인해 이 같은 수면시간을 지키기도 어렵고, 부족한 수면시간마저도 소음과 빛 등으로 인해 방해받고 있는데요. 

그렇지만 이런 수면부족은 우울증 증상을 일으킬 수도 있기 때문에 밤늦게 술이나 카페인이 들어간 음료 섭취를 자제해야 하며 가벼운 운동으로 깊은 숙면을 취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겠습니다. 또한 따뜻한 우유나 대추차, 캐모마일차 등도 도움이 된다고 하니 적극 활용해 보면 좋겠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