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소상공인 지킴자금 홈페이지 신청방법 및 지원대상 제출서류 

 

오늘 이 시간에는 서울시 소상공인 지킴자금 홈페이지 서울지킴자금.kr 신청방법 및 서울시 소상공인 지킴자금 홈페이지 신청 지원대상과 더불어 서울시 임차 소상공인 지킴자금 지원금액, 제출서류, 지급시기, 이의신청, 유의사항 등에 대해 간단하게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서울시가 약 5000억 원의 재원을 투입해 생존위기에 처한 영세 소상공인에게 작지만 즉각적인 보탬이 되고자 현금 100만원 지원하는 서울시 임차 소상공인 지킴자금 지원 사업을 시행한다고 합니다. 서울시 임차 소상공인 지킴자금 신청 사업은 매출감소에 이어 임대료 부담까지 짊어져야 하는 임차 사업장에 보다 두터운 지원을 펼쳐 빠른 일상회복을 돕겠다는 취지라고 합니다.

 

 

서울시 소상공인 지킴자금 홈페이지 지원대상은 연매출 2억 원 미만인 임차 사업장을 운영하고 있는 소상공인이 대상이라고 합니다.

 

 

① 2021년 12월 31일 이전 개업하고,

사업자등록증상 주된 사업장이 서울에 소재하면서,

③ 2020년 또는 2021년 연매출이 2억 원 미만,

④ 공고일 현재 사업장을 임차 또는 입점해 영업 중이라면 서울시 소상공인 지킴자금 홈페이지 지원 대상이 된다고 합니다.

 

서울시 소상공인 지킴자금 홈페이지 지원대상

 

서울시 임차 소상공인 지킴자금 지원금액은 지원 대상이 되는 임차 소상공인 50만명에게 100만원을 현금으로 지원한다고 합니다. 서울시 임차 소상공인 지킴자금 신청기간은 지난 2월 7일부터 오는 3월 6일까지라고 합니다.

 

 

서울시 임차 소상공인 지킴자금 신청방법은 서울지킴자금.kr 사이트를 통한 온라인 신청이 원칙이라고 합니다. 5일간(2월 7일~11일)은 사업자등록번호 끝자리로 5부제를 시행하고, 12일부터는 번호와 상관없이 신청할 수 있다고 합니다.

 

 

서울시 임차 소상공인 지킴자금 신청방법 중 온라인 신청이 불가한 소상공인2월 28일~3월 4일 신청 마지막 주에 사업장 소재지 관할 자치구별로 지정한 현장을 방문해 신청 가능하다고 합니다.

 

서울시 소상공인 지킴자금 홈페이지 신청 제외대상

 

특히 서울시는 소상공인 지킴자금 신청 및 지급과 관련해 신청은 편리하게 자금은 최대한 빨리 받을 수 있도록 서울지방국세청을 비롯한 주요 카드사(신한, 비씨, KB국민)와 긴밀한 협력체계를 구축해 매출액 심사 소요 기간을 최대한 단축할 계획이라고 합니다. 서울시 임차 소상공인 지킴자금 신청 후 10일 내 지급을 완료해 즉각적인 도움이 되게 할 전망이라고 합니다.

 

 

다음은 서울시 소상공인 지킴자금 서류 및 서울시 임차 소상공인 지킴자금 신청 방법, 서울시 임차 소상공인 지킴자금 지원대상, 제외대상과 함께 서울시 임차 소상공인 지킴자금 지원금액, 지급시기, 이의신청, 유의사항 등에 대한 서울시 공고문 내용이라고 합니다. 참고하셨으면 좋겠습니다.

 

1. 서울시 임차 소상공인 지킴자금 사업 목적

▶ 임차료 등 고정비용 부담으로 생존위기에 처한 영세 소상공인을 보다 두텁고 신속하게 지원하고자 함.

 

서울시 소상공인 지킴자금 홈페이지 신청 방법 및 지원대상

 

2. 서울시 임차 소상공인 지킴자금 지원 내용

서울시 임차 소상공인 지킴자금 지원대상 : 연매출 2억원 미만, 임차 사업장을 운영하는 소상공인.

- 2020년 또는 2021년 연매출이 2억원 미만이며,

- 2022년 공고일 현재 영업중인 소상공인.(단 휴업 및 사실상 폐업 상태에 있는 사업장은 제외 된다고 합니다)

- 사업자등록증상 (주된) 사업장 소재지가 서울이며, 임차 사업장 소재지도 서울

- 개업일이 ’21.12.31. 이전이며, 공고일 현재 임차 또는 입점 사업장

 

< 지원 및 중복수혜 제외 대상 >

‣ 유흥시설 또는 도박, 향락, 투기 등 소상공인 정책자금 융자 제외대상 업종.

‣ 변호사, 회계사, 병원, 의원, 약국 등 전문직종, 비영리법인 학교 종교단체 등 공공시설 제외.

‣ 2022년 공공재산 임차 소상공인 임차료 감면대상은 중복수혜 불가.

‣ 2022년 특고 및 프리랜서 지원금 대상은 중복수혜 불가.

‣ 2022년 관광업 위기극복자금 지원금 대상은 중복수혜 불가.

 

 

서울시 임차 소상공인 지킴자금 지원금액 : 사업장별 100만원 지원

- (사업자등록별 지원) 1인이 여러 사업자등록을 보유한 경우 사업자등록번호별로 지원

- (대표자 1인) 공동대표가 운영하는 경우 대표자 중 1인에게만 지급(* 나머지 공동대표자 전체의 동의가 필요합니다.)

 

 

3. 서울시 소상공인 지킴자금 홈페이지 신청방법 및 절차

서울시 소상공인 지킴자금 홈페이지 신청방법

 원칙 : 온라인 신청 (http://서울지킴자금.kr, PC에서 온라인으로 신청 시 크롬(Chrome)이나 엣지(Mircrosoft Edge) 브라우저에서만 가능합니다.)

- 신청기간 : ’22. 2. 7(월) 00:00 ~ 3. 6(일) 24:00

- 2. 7(월) ~ 11(금) : 사업자번호 끝자리에 따른 5부제 시행

 

서울시 소상공인 지킴자금 홈페이지 진행절차

 

 온라인 신청이 어려운 경우 : 현장 신청

- 신청기간 : ’22. 2. 28(월) 10:00 ~ 3. 4(금) 17:00

- 신청장소 : 사업장 소재지 자치구 현장접수처(별도 첨부파일 확인)

- 신청방법 : 신청서 등 작성  및 증빙자료 구비하여 현장접수처 제출

- 진행절차

 

 서울시 임차 소상공인 지킴자금 신청 및 제출서류

서울시 소상공인 지킴자금 홈페이지 신청 서류

 

<공통 필수서류>

사업자등록증 또는 1개월 이내 발급한 사업자등록증명원

※ 공동대표인 경우 대표자 각각의 이름이 모두 기재되어 있어야 함.(사업자등록증에 대표자 각각의 이름이 미기재되어 있는 경우에는1개월 이내 발급한 사업자등록증명원 제출)

임차사업장 증빙자료(상가임대차계약서 등)

 

< (대표자 본인 신청 불가또는 공동대표인 경우 등) 대리인 신청 시>

통합위임장(공동대표의 경우 다른 대표자 모두의 위임 필요)

위임하는 자와 위임받는 자의 신분증 사본(공동대표의 경우 대표자 모두의 신분증 사본)

 

< 계좌압류 등으로 타인계좌 수령 희망 시 ※ 법인은 법인명의 계좌만 가능>

통합위임장.

대표자와 수령인의 신분증 사본.

 

< 현장 신청 시 ※ 방문자 신분증 지참 필수>

서울 임차 소상공인 지킴자금 신청서.

개인정보활용동의서.

대표자(법인의 경우 법인) 통장 사본.

(법인 직원이 신청하는 경우) 재직증명서.

 

 

4. 서울시 임차 소상공인 지킴자금 이의신청

신청기간 : ’22. 3. 7(월) ~ 3. 13(일)

신청방법 : 온라인(http://서울지킴자금.kr)으로만 신청.

신청대상 : 신청내역 심사 결과 지원 제외 통보를 받은 사업주.

진행절차

 

 

5. 서울시 임차 소상공인 지킴자금 유의사항

지급일 : 신청일로부터 근무일 기준 10일 이내. 단 대상자 심사에 시간이 더 소요되는 경우 지급일이 늦춰질 수 있다고 합니다.

신청 내역 보완을 요청받은 경우, 요청일로부터 3일 이내에 보완 완료되어야 함.

신청내용이 사실과 다르거나, 지원 대상 요건에 부합하지 않는 경우 환수 조치됩니다. 또한 중복수급 및 부정수급의 경우에도 환수 조치된다고 합니다.

 

 

6. 서울시 임차 소상공인 지킴자금 신청 문의

전화 문의 : 다산콜센터(02-120)

 지급 문의 : 사업장 소재지 자치구 소상공인 업무 담당부서(위 부서명과 연락처 참고하세요)

 

 

서울시는 서울시 임차 소상공인 지킴자금 사업에 대해 손실규모에 비례하여 지원해 온 정부 손실보상 정책에서, 매출이 작아 손실보상금이 적을 수밖에 없었던 연매출 2억 미만의 영세 소상공인과 정부 지원의 사각지대 또는 틈새에 있는 소상공인에 집중해 보다 합리적으로 지원하기로 했다고 합니다.

 

 

또한 전체 서울 소상공인 사업장 70만개 중 91.5%가 임차사업장이며, 소상공인 대상 설문조사 결과(소상공인연합회) 코로나19 재확산 이후 임대료 등 고정비용이 가장 부담된다는 대답이 69%에 달했다며 현장의 목소리를 반영해 지원대상을 임차사업장으로 한정했다고 합니다.

 

 

이상은 서울시 소상공인 지킴자금 홈페이지 서울지킴자금.kr 신청방법 및 서울시 소상공인 지킴자금 홈페이지 신청 지원대상과 더불어 서울시 임차 소상공인 지킴자금 지원금액, 제출서류, 지급시기, 이의신청, 유의사항 등에 대한 간단 정보였습니다. 참고하셨으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