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부 국민연금들었을때 수령액 알아보기
오늘은 국민연금 지급과 관련된 사항 중에서 부부 국민연금들었을때 수령액 알아보기 및 국민연금 예상 수령액 알아보기 방법에 대해 간단하게 살펴보도록 할게요.
부부가 국민연금에 동시에 가입하면 손해가 아닐까 라고 생각하는 분들이 많다고 합니다. 이는 국민연금에 대한 가장 흔한 오해 중 하나로서 부부가 둘 다 가입하더라도 노후에 연금은 한 명만 받는 것으로 알고 있다는 것이라고 합니다. 이 때문에 부부가 국민연금에 가입하면 손해라고 생각하는 분들이 의외로 많다고 합니다.
하지만 이런 부부 국민연금들었을때 수령액에 대한 오해에 대해 국민연금공단은 이는 명백하게 '잘못된 정보'라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국민연금공단에 따르면 국민연금은 가족 단위로 가입하는 제도가 아니라, 가입자 개인별로 노후 위험(장애, 노령, 사망)을 대비하도록 보장하는 사회보험이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때문에 부부가 모두 국민연금에 가입했다고 하면 보험료를 낸 기간에 따라 남편과 부인 모두 노후에 각자 생을 마칠 때까지 연금을 받게 된다고 합니다. 부부 국민연금들었을때 수령액과 부부수령시 둘다 받게 되는 것이라고 연금공단에서는 그렇다라고 밝힌 것입니다.
지난 2018년 국민연금 급여지급 현황 자료를 보면, 부부 모두 노령연금을 받는 수급자는 29만 8천733쌍(59만 7천 명)에 달했다고 합니다. 국민연금으로 노후를 함께 준비한 부부 중 부부합산 기준으로 가장 많은 연금액을 받는 부부는 월 327만8천원을 받고 있었다고 합니다.
부부 국민연금들었을때 수령액 예로 서울에 사는 남편 A(63세) 씨는 국민연금제도 시행 첫해인 1988년 1월부터 2015년 6월까지 27년 6개월간 가입해 2018년 말 현재 월 165만 6천 원의 노령연금을 받고 있었습니다.
부인 B(62세) 씨 역시 1988년 1월부터 2016년 2월까지 28년 2개월간 가입해 월 162만 2천 원을 수령하고 있었습니다. 따라서 이 부부가 연간 받는 합산 노령연금액은 3천930만 원에 이른다고 합니다.
부부 국민연금들었을때 수령액 부부수급자는 해마다 증가하고 있다고 합니다. 2010년 10만 8천674쌍이었던 부부 수급자는 2011년 14만 6천333쌍에서 꾸준히 늘어 2014년 21만 4천456쌍으로 20만 쌍을 넘어섰다고 합니다.
2015년 21만5천102쌍, 2016년 25만 726쌍으로 늘어났으며 2017년에는 29만 7천473쌍으로 늘었습니다. 이같은 부부 국민연금들었을때 수령액 정보에서처럼 부부가 함께 국민연금에 가입하면 보다 수월하게 노후를 대비할 수 있다고 합니다.
단 중복급여 조정 규정에 따라 부부가 모두 연금을 받다가 한 사람이 먼저 사망하면, 남은 배우자는 자신의 노령연금과 유족연금 중에서 유리한 한 가지를 선택해야 합니다. 국민연금은 자신이 낸 보험료만큼 타가는 민간연금상품과는 달리, 사회보험이기에 소득 재분배의 기능도 갖고 있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그래서 사회 전체의 형평성 차원에서 한 사람의 과다한 급여수급을 막고 더 많은 사람에게 혜택이 돌아가도록 하는 장치를 마련했습니다. 그것이 바로 한 사람에게 두 가지 이상의 급여가 발생했을 때 한 가지만 선택하도록 한 중복급여 조정이라고 합니다.
만약 자신이 받는 노령연금보다 숨진 배우자가 남긴 유족연금이 훨씬 많으면 유족연금을 고르면 된다고 합니다. 그렇게 되면 자신의 노령연금은 못 받고, 유족연금만 받을 수 있다고 합니다.
하지만 자신의 노령연금을 고르면 지급액이 달라진다고 합니다. 자신의 노령연금에다 유족연금 일부를 추가로 받을 수 있기 때문으로 유족연금 중복지급률은 2016년 12월 이전까지는 20%였다가 이후 30%로 올랐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 부부 모두 수급연령에 도달, 수령하는 경우(부부 국민연금들었을때 수령액)
부부 국민연금들었을때 수령액 남편은 남편대로 아내는 아내대로 각자 자신의 연금을 받기 때문에 아무런 제한이나 문제가 없습니다. 각자 수급 해당연령에 도달하면 연금을 받을 수 있게 됩니다.
▣ 부부 국민연금들었을때 수령액, 예상수령액 알아보기
먼저 국민연금 예상수령액 알아보기 방법으로는 공인인증서를 통해 알아보는 방법이 있습니다. 다음으로 공인인증서 없이 간단하게 예상연금을 알아보는 방법이 있습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국민연금예상월액표를 통해 알아보는 방법이 있습니다.
부부 국민연금들었을때 수령액, 국민연금 예상수령액 알아보기 방법 중 첫번째 방법은 공인인증서 없이 알아보기 방법입니다. 먼저 다음이나 네이버, 구글 등의 검색창에 국민연금을 검색합니다. 이 후 국민연금관리공단 홈페이지에서 자주찾는 민원서비스를 클릭합니다. 다음 왼쪽 하단에 있는 내연금 알아보기를 클릭합니다.
내연금 알아보기 항목에서 인증없이 간단하게 예상연금 알아보기 항목이 있습니다. 인증없이 확인할 수 있는 예상연금 모의계산과 예상연금 간단조회 두가지 항목이 있습니다. 먼저 아주 간단한 예상연금 간단조회를 한 번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내연금 알아보기에서 예상연금 간단조회를 클릭합니다. 이 후 월 납입 보험료 항목에 보험료를 입력합니다. 그런 다음 예상연금액 조회하기를 클릭하면 소득기준과 함께 연금별 지급금액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 방법은 노령 및 장애 유족연금 예상액을 인증과정 없이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다음으로 예상연금 모의계산 항목이 있습니다. 이 항목은 기본정보 및 소득, 크레딧 대상 입력 후 결과보기를 클릭해 예상연금을 조회해 볼 수 있는 항목입니다. 다만 실제 가입이력을 기초로 한 보다 정확한 예상연금액은 인증을 한 후에 예상연금조회 서비스를 이용하면 가능합니다.
그러나 만 60세 이상은 가입대상이 아니므로 계산할 수 없습니다. 또한 노령연금 수급이 가능한 최소 가입기간은 10년이 되어야 합니다. 특히 예상연금 모의계산 항목은 최장 만 60세까지 납부한다는 가정 하에 계산됩니다. 때문에 이 점은 참고해야 합니다.
부부 국민연금들었을때 수령액, 국민연금 예상수령액 알아보기 방법 두번째 방법은 공인인증서로 인증하고 알아보기 방법입니다. 먼저 인증없이 알아보았던 방법처럼 국민연금 홈페이지에서 자주찾는 민원서비스 클릭합니다. 다음 내연금 알아보기 바로알아보기를 클릭합니다.
인증하고 내연금 알아보기 항목에서 예상연금액 조회를 클릭하면 예상수령액이 얼마인지 확인이 가능합니다. 물론 이 또한 최소 가입기간인 10년이 되어야 합니다.
예상수령액은 현재 기준과 최근 5년간 소득상승률에 따라 달라집니다. 최저는 3.2%, 평균은 4.0%, 최고는 4.9%입니다. 특히 오른쪽 상단에서 본인이 직접 선택해서 비교할 수 있습니다.
부부 국민연금들었을때 수령액, 국민연금 예상수령액 알아보기 방법 세번째 방법은 예상연금월액표로 알아보는 방법이 있습니다. 노령연금 예상연금월액표는 지금까지 낸 보험료를 토대로 미래 예상되는 가입기간을 적용하여 예상수령액을 추정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
예상연금월액표에서는 현재 내고 있는 보험료를 토대로 미래 지급받을 수 있는 연금액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만약 400만원의 소득에 360,000의 보험료를 20년 동안 낸다고 가정 했을 때 예상연금월액표에서는 매월 648,600원의 연금을 지급 받는 것으로 나옵니다. 하지만 이 또한 예상연금액이기 때문에 참고만 해야합니다.
이상은 부부 국민연금들었을때 수령액 및 국민연금 예상수령액 알아보기에 대한 간단 정보였습니다. 참고하셨으면 좋겠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