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ser-agent: Yeti Allow:/


아스피린 만성B형간염 환자의 간암 발생위험 낮춘다.

아스피린 효능 동안에도 많이 알려져 있었지만 아스피린 만성B형간염환자의 간암 발생위험을 낮춘다는 연구결과가 나왔습니다. 고혈압, 협심증, 뇌졸중환자들에게 사용되는 항혈소판제인 아스피린이 만성B형간염 환자의 간암발생억제 결과가 나오면서 다시 한 번 아스피린 효능이 부각되고 있지만 약이니 만큼 아스피린 부작용 또한 조심해야겠어요.

아스피린의 주성분은 아세틸살리실산으로 진통, 소염, 해열 작용은 물론 혈전을 녹이는 효능이 있습니다. 진통제로 자주 쓰이는 아스피린이 암으로 사망할 위험을 낮춘다는 연구 결과도 있었는데요. 이어 아스피린 만성B형간염 환자들의 간암 발생 위험을 낮춘다는 연구결과는 서울대병원 이정훈, 강원대병원 이민종 교수팀이 2002~2015년 서울대병원을 방문한 18~85세 만성B형간염환자 1674명을 추적 관찰한 결과 이 같은 사실을 확인했다고 합니다.

만성B형간염에 걸리면 간세포손상이 반복돼 간경화 및 간암이 발생하기 쉬운데요. 기존에는 항바이러스제만 간암발생을 줄인다고 알려졌지만 연구진은 아스피린이 혈소판기능을 억제해 염증이 감소하는 점을 주목해 이번 연구를 진행하게 됐다고 합니다.

연구진은 항혈소판제를 복용한 환자와 그렇지 않은 환자를 비교했을 때 복용한 환자의 간암발생 위험도가 56~66% 정도 낮았다고 밝혔는데요. 이번 아스피린 연구를 통해 간암의 주요원인인 만성B형간염의 간암발생률을 낮추는 요소를 찾아냈다고 합니다.

또한 만성 B형간염 환자가 아스피린을 복용하면 우려했던 출혈 위험이 크지 않으면서 간암 발생 위험을 절반 이상 낮출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고 합니다. 이는 기존 항바이러스제 치료와 함께 간암 예방을 위해 적극적으로 아스피린을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고 해요.

전세계인이 사용하는 아스피린의 가치는 아스피린 부작용 효능이 크게 나타난 의약품이라고 할 수 있는데요. 고대 이집트와 그리스 문헌에까지 기원이 닿아있는 아스피린의 성분은 버드나무에 많은 물질인 살리실산이라고 합니다. 그러나 처음 아스피린을 제조할 때는 조팝나무에서 추출한 살리실산이 쓰였다고 하는데요. 

아스피린 영어명인 Aspirin은 아세틸살리실산의 A와 조팝나무 학명 Spiraea의 합성어라고 합니다. 아스피린의 강장 및 진통 효과는 역한 맛 외에도 위장 장애 등 부작용 때문에 민간 요법으로 제한적으로 사용될 뿐 대중화하지 못하다가 1890년 독일 바이엘사의 23세 청년 펠릭스 호프만(Felix Hoffmann, 1868~1946)이 살리실산을 아세틸화해 먹기 편하고 위 점막 자극을 줄인 뒤부터 대중화되었다고 합니다.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였던 아버지의 통증을 덜어주기 위해 연구에 열을 올렸다는 일화는 유명한데요. 바이엘사는 1899년 3월 6일 "해열 진통제" 아스피린의 특허를 등록하고 1914년, 초기의 가루 약을 알약 형태로 교체, 복용을 간편하게 하고 복용량을 표준화함으로써 더욱 대중화 시켰다고 합니다. 

과학자들은 1970년대 아스피린의 대표적 부작용인 위장 장애와 출혈 등 항혈액응고 현상의 원인이 주성분인 아세틸살리실산의 혈소판 응집 차단 기능 때문이라는 사실을 밝혀냈는데요. 아스피린 부작용은 80년대 심근경색 및 일과성 뇌허혈 발작 재발방지 효능으로 재발견됐고, 아스피린은 어엿한 심혈관질환 예방의약품이 됐다고 합니다. 아스피린 부작용이 지금의 아스피린을 만들게 된것이죠. 최근에는 아스피린이 피부 염증 치료효과, 치매 및 암 예방 가능성에 대한 연구도 진행 중이라고 합니다.

버드나무 껍질에 함유된 살리실산이라는 물질에서 비롯된 아스피린은 진통 해열제의 대명사로서 역할을 톡톡히 해왔는데요. 최근에는 다양한 효능이 있는 것으로 밝혀지면서 '현대판 만병통치약' 대접을 받고 있다고 합니다. 최근 연구들에 따르면 아스피린은 뇌와 심장혈관 질환을 예방할 수 있고 암과 치매 예방 효과의 가능성도 있다고 합니다.

이와 관련해 아스피린 효능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면 꾸준히 복용하면 암으로 사망할 위험이 낮아진다는 연구결과도 있는데요. 지난 4월 미국 매사추세츠 종합병원 임상 중개역할 연구실의 32년간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아스피린을 꾸준히 복용한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에 비해 모든 원인에 의한 사망 위험이 남성은 11%, 여성은 7% 낮았다고 합니다. 특히 암으로 인한 사망 위험은 남성이 15%, 여성은 7%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해요.

  

 

저용량의 아스피린 효능은 유방암과 임신중독증 예방에 도움이 된다는 연구도 있었는데요. 미국 시티 오브 호프 종합 암센터의 레슬리 번스타인 박사는 저용량(81mg) 아스피린을 일주일에 3회 이상 복용하는 여성은 다른 여성에 비해 유방암 위험이 평균 16% 낮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구요. 영국 킹스 칼리지 런던(KCL) 태아의학연구센터 소장 키프로스 니콜라이데스 박사 연구팀은 임신중독증 위험이 있는 임신 여성이 저용량(150mg) 아스피린을 복용하면 임신중독증 위험을 크게 줄일 수 있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습니다.

 

아스피린 효능 심장병 발병을 억제하는 효능도 있는데요. 미국 하버드의대 연구팀이 5년 동안 20~30대의 건강한 남자 의사 2만 2천여 명에게 아스피린과 위약을 각각 나눠 먹여 연구한 결과, 아스피린 그룹에서 심장병 발병이 44%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합니다. 2년 동안 아스피린을 복용한 경증 뇌졸중 환자 600여 명에게서도 뇌졸중에 의한 사망이 31% 줄어들었다고 합니다. 또한 뉴질랜드에서 이뤄진 한 연구에 따르면, 아스피린은 좁은 좌석에 오래 앉아 있어서 생기는 정맥혈전증을 29% 감소시킨다는 결과도 있다고 해요.


 

아스피린 효능 대장암 예방 및 전립선암 예방 효능도 있었는데요. 호주의 한 연구에서는 아스피린 복용자가 미복용자에 비해 대장암에 걸릴 확률이 40% 가량 낮았다고 합니다. 미국의 다른 연구에서는 60세 이상 남성 1천여 명을 6년 동안 관찰한 결과, 아스피린 복용 그룹의 전립선암 발병률이 4%로 미복용 그룹의 9%보다 크게 낮았다고 합니다. 다른 연구에서는 유방암 위험이 28%까지 감소하였고, 피부암과 폐암 발생률도 감소시켰다는 보고가 있었구요. 또한 알츠하이머와 같은 치매를 예방할 수 있다는 보고도 있다고 합니다.

그렇다면 이런 아스피린은 얼마정도 복용해야 할까요? 아스피린은 진통 해열 목적으로 먹을 때는 500㎎ 이상 고용량으로 투약할 수 있지만, 심장병 및 뇌졸중 예방 등의 목적으로 매일 복용하고자 할 때는 100㎎ 저용량 용법이 권장된다고 합니다. 아스피린을 하루 200㎎ 이상 먹을 경우 100㎎ 이하로 먹을 때보다 심한 출혈이 일어날 확률이 배 이상 높았으며 반면 심혈관 질환 발생률은 크게 다르지 않았다고 합니다.

또한 아스피린을 식후가 아닌 식전에 복용하는 것으로 복용법이 바뀔 전망인데요. 허가사항이 바뀌면 아스피린은 식사 전 공복 상태에서 복용하도록 권장된다고 합니다. 복용 시 의무사항은 아니지만 회사는 제품 상자와 설명서 등에 이 내용을 표기할 수 있는데요. 아스피린은 2001년 국내 식약처 허가 이후 줄곧 식후 복용이 권장돼 왔었습니다.

바이엘코리아가 아스피린의 복용 시점 변경을 추진하는 이유는 장에서 녹아 흡수되도록 만들어진 '장용정'의 이점을 살리기 위해서라고 하는데요. 아스피린은 위에서 녹으면 위벽을 자극해 위장장애를 유발할 수 있어 위에서 녹지 않는 장용정으로 개발됐다고 합니다.

그러나 환자가 음식을 섭취한 뒤 아스피린을 복용할 경우에는 위에서 녹을 가능성이 있겠죠. 이 때문에 바이엘의 본사가 있는 독일에서는 아스피린의 복용 시점을 식사 전으로 권장하고 있다고 해요.


이렇게 놀라운 아스피린 효능에도 불구하고 여러가지 아스피린 부작용이 있어 주의해야 하는데요. 속쓰림이나 메스꺼움 등 가벼운 부작용에서부터 생명을 위협할 수 있는 심각한 부작용인 위궤양, 위장출혈, 뇌출혈, 다른 내장에서의 출혈 등이 있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그 외에 피부나 알러지 반응, 신장 장애, 간 손상 등도 우려되는 아스피린 부작용에 속한다고 해요.

 

가장 대표적 부작용인 위장 출혈의 경우, 아스피린이 위장에서 위점막이 만들어지는 것을 막아 위산에 의해 위벽이 쉽게 다치게 되고 혈전 생성도 억제하므로 피가 쉽게 멈추지 않게 된다고 합니다. 이런 아스피린 부작용 때문에 위장관 출혈이 있었거나 출혈성 뇌졸중, 출혈의 가능성이 높은 사람들은 아스피린을 피해야 한다고 해요

 

출혈, 위궤양, 심장발작 등 아스피린 복용에 따른 부작용이 있기 때문에 아스피린을 장기 복용하려면 반드시 전문의와 상의해야 하는데요. 아스피린을 매일 복용하면 소화 궤양이나 소화관 출혈 등의 부작용이 있을 수 있고 일부 고령자에게는 치명적일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주의해야 합니다. 

또한 심혈관 질환 발생 위험이 높은 중년 이상의 남성이나 폐경기 이후의 여성, 당뇨병 환자들은 아스피린을 복용할 것인지 여부에 대해 의사와 상담을 통해 득과 실을 상의한 뒤에 결정하는 것이 좋다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