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내 괴롭힘 방지법

2019. 7. 16. 10:52


직장내 괴롭힘 방지법 시행된다고 해요!


늘 행복이 함께 하는 시간 되세요. 16일 오늘부터죠. 직장내 괴롭힘을 금지하는 개정 근로기준법이 시행되는데요. 오늘은 직장내 괴롭힘 방지법 시행 소식과 함께 직장내 괴롭힘 매뉴얼과 함께 직장내 괴롭힘 방지법 과태료에 대해 알아보도록 할께요. 

직장내 괴롭힘이란 무엇일까요? 개정된 근로기준법에 따르면 직장내 괴롭힘 정의에 대해 ‘사용자 또는 근로자가 직장에서의 지위 또는 관계 등의 우위를 이용해 업무상 적정범위를 넘어 다른 근로자에게 신체적·정신적 고통을 주거나 근무환경을 악화시키는 행위’로 규정하고 있다고 합니다.

 


직장내 괴롭힘은 반드시 같은 회사에서 상사가 가해자가 되는 게 아니라고 합니다. 동일 직급이라도 직무에 따라 우위를 지니면 가해자가 되기도 하는데요. 대표적으로 인사팀, 감사팀 등 사내에서 영향력을 발휘하는 부서는 하급자라 하더라도 다른 부서 상급자를 괴롭히는 가해자가 될 수 있다고 합니다.

직장 내 괴롭힘을 법으로 금지한 나라는 프랑스와 호주 등 소수에 불과하다고 합니다. 일본도 직장 내 괴롭힘 예방을 위한 행정 지침만 두고 있다고 하는데요. 직장 내 괴롭힘 금지를 명문화한 근로기준법 개정은 병원의 신임 간호사에 대한 '태움' 관행과 같은 직장 내 괴롭힘 사건이 잇달아 불거지면서 논란을 일으킨 게 계기가 됐구요. 개정법은 직장 내 괴롭힘이 잘못이라는 인식이 자리 잡게 해 직장 내 괴롭힘 근절을 위한 첫걸음이 될 것으로 정부는 기대하고 있다고 합니다.



직장내 괴롭힘 방지법 처벌규정은?

개정법은 직장 내 괴롭힘을 금지하고 있지만, 직접적인 처벌 규정을 두고 있지는 않다고 합니다. 다만, 상시 노동자 10인 이상 사업장은 취업규칙에 직장 내 괴롭힘 예방과 징계 등의 내용을 포함하도록 의무화했는데요. 직장 내 괴롭힘에 대한 처벌보다는 기업별로 직장 내 괴롭힘 근절을 위한 체계를 갖추도록 하는 데 초점을 맞춘 것이라고 합니다.


취업규칙에는 ▲ 금지 대상 괴롭힘 행위 ▲ 예방 교육 ▲ 사건 처리 절차 ▲ 피해자 보호 조치 ▲ 가해자 제재 ▲ 재발 방지 조치 등이 기재돼야 하구요. 직장 내 괴롭힘 가해자에 대한 징계 규정을 신설할 경우 노동 조건의 불이익 변경에 해당해 노동자 과반수의 동의를 받아야 한다고 합니다.

사용자는 직장 내 괴롭힘이 발생했다는 신고를 접수하거나 사건을 인지했을 경우 지체 없이 사실 확인을 위한 조사에 착수해야 하는데요. 이 과정에서 피해자에 대해서는 유급휴가 명령과 같은 보호 조치를 해야 하구요. 괴롭힘이 사실로 확인되면 가해자에 대해 징계와 근무 장소 변경과 같은 조치를 해야 한다고 해요. 사용자가 직장 내 괴롭힘 신고자나 피해자에게 해고를 포함한 불이익을 주면 안 되는데요. 이를 위반할 경우 3년 이하 징역이나 3천만원 이하 벌금 부과 대상이 된다고 합니다. 직장내 괴롭힘 방지법 과태료가 부과되는 것이죠.



더불어 직장 내 괴롭힘에 따른 업무상 스트레스가 원인인 질병을 업무상 재해로 인정하는 개정 산업재해보상보험법도 16일부터 시행되는데요. 이는 곧 직장내 괴롭힘에 따른 질병이 산업재해로 인정된다는 의미라고 합니다.

직장내 괴롭힘 방지법 시행 문제점은 없을까?

직장 내 괴롭힘의 개념이 명확하지 않은 만큼, 어떤 행위가 직장 내 괴롭힘에 해당하는지를 두고 초기에는 혼란이 불가피할 전망이라고 합니다. 그렇다면 어떤 경우가 직장내 괴롭힘에 해당하며 해당하지 않는 것일까요?



직장 내 괴롭힘에 해당하려면 직장 내 지위를 포함해 관계상 우위를 이용한 행위로 볼 수 있어야 하는데요. 관계상 우위는 나이, 학벌, 성별, 출신, 근속연수, 전문지식, 노조 가입 여부, 정규직 여부 등 다양한 요소가 될 수 있구요. 또 문제의 행위가 업무상 적정 범위를 넘어야 하는데요. 예를 들어, 반복적으로 심부름을 시키는 등 인간관계상 용인할 수 있는 부탁의 수준을 넘어 사적 지시를 할 경우 직장 내 괴롭힘이 될 수 있다고 합니다.



이 밖에도 신체적, 정신적 고통을 주거나 근무 환경을 악화시키는 행위로 볼 수 있어야 하는데요. 상사가 '면벽 근무'를 지시할 경우 노동자가 정상적인 업무를 수행하기에 적절한 환경이 아닌 것으로 인정되면 직장 내 괴롭힘에 해당할 수 있다고 합니다.

직장내 괴롭힘 매뉴얼 내용은?

노동부는 지난 2월 직장 내 괴롭힘의 개념을 두고 산업 현장에서 혼란이 발생할 수 있다고 보고 구체적인 사례를 담은 매뉴얼을 발표했는데요. 매뉴얼에 따르면 회사 임원이 육아휴직을 쓰고 복직한 직원에게 기존 업무와는 다른 업무를 맡기고 다른 직원들에게 그를 따돌리라는 지시를 해 피해자가 우울증을 앓게 했다면 직장 내 괴롭힘에 해당한다고 밝히고 있다고 합니다. 회사에서 우월한 지위를 이용해 업무상 적정 범위를 넘은 지시로 정신적 피해를 줬기 때문이죠. 같은 맥락으로 상사가 부하 직원에게 술자리를 만들라고 반복적으로 요구하며 인사상 불이익을 주겠다고 경고한 경우도 직장 내 괴롭힘으로 볼 수 있다고 합니다.




그러나 의류회사 디자인팀장이 신상품 발표 행사를 앞두고 팀원에게 디자인 보고를 시켜놓고는 미흡하다며 계속 보완을 지시해 팀원이 스트레스를 받았다고 해도 직장 내 괴롭힘에는 해당하지 않는다고 하는데요. 이 같은 경우에는 팀장의 지시가 업무상 적정 범위를 넘어섰다고 보기는 어렵기 때문이라고 해요.

이렇듯 직장 내 괴롭힘의 기준은 일률적으로 제시하기는 어렵고 구체적인 사정을 최대한 참작해 판단해야 한다는 게 노동부의 설명이라고 하는데요. 한마디로 기업별로 직장 내 괴롭힘의 예방 및 징계를 위한 취업규칙을 만들고 구체적인 행위에 대한 판단을 통해 기업 사정에 맞는 기준을 정립해나가야 한다는 것이라고 합니다.



이에 따라 직장 내 괴롭힘의 예방 및 징계 시스템이 자리 잡으려면 상당한 시간이 걸릴 전망인데요. 실제 대한상공회의소의 최근 조사 결과에 따르면 대기업은 대부분 직장 내 괴롭힘 예방·징계를 취업규칙에 반영하는 등 준비를 마쳤으나 중소기업의 약 20%는 아직 계획도 세우지 못한 상태인 것으로 나타났다고 합니다. 조사 대상 기업 인사 담당자들이 개정 근로기준법 시행에 따른 애로사항으로 가장 많이 꼽은 것은 '괴롭힘 행위에 대한 모호한 정의'(45.5%)였다고 합니다. 때문에 아직 산업현장에서의 혼란을 피할 수가 없는 것이죠.

직장내 괴롭힘 방지법이 시행으로 직장 내 괴롭힘이 처벌 대상이 되는 것은 아니지만, 기업이 직장 내 괴롭힘 예방과 징계 등을 위한 시스템을 갖추도록 함으로써 직장 내 괴롭힘 근절의 첫발을 뗐다는 의미가 있다고 하는데요. 노동부 관계자는 "과거에는 성희롱이 잘못이라는 인식조차 희박했으나 지금은 성희롱하면 안 된다는 인식이 자리 잡아가는 것처럼, 직장 내 괴롭힘도 개정법 시행을 계기로 서서히 사라질 것"이라고 밝혔다고 합니다.



이상은 7월 16일부터 시행되는 직장내 괴롭힘 방지법 시행 소식과 문제점 직장내 괴롭힘 매뉴얼에 대한 간단 정보였는데요. 직장내 괴롭힘으로 인해 극단적인 선택을 하는 등의 사회 문제가 끊이지 않고 있는 요즘이였죠. 따라서 직장내 괴롭힘 방지법 시행이 직장 갑질 문화와 괴롭힘 문제 등을 사라지게 하는 계기가 되었으면 하는 바램입니다.